개발 블로그에 대한 고민들
10월부터 새로 블로그를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사실 개발 블로그를 만든 것은 이번이 처음이 아닙니다. 그럼에도 항상 어렵고, 마음에 들지 않았던 것이 개발 블로그였습니다. 그래서 블로그에 관해서 했던 고민과 생각들을 정리해 보려고 합니다.
개인의 주관이 많이 들어갈 예정입니다.
내 블로그가 필요한 이유
간단히 하면 정리를 위해서입니다.
깔끔하게 정리해서, 어디서나 편하게 볼 수 있기를 원했습니다.
정리해서 로컬 파일로 둔다면 어디서나 볼 수 없었습니다.
노트 앱을 활용할 수도 있지만, 선호하는 방식이 아니었습니다.
블로그는 인터넷만 연결되어 있으면 어디에서나 볼 수 있고,
자료가 많아져도 검색 엔진이나 사이트 내 필터가 걸러 주고,
앱 접속이나 로그인 같은 절차도 필요 없습니다.
누군가에게 도움이 될 수도 있습니다. 가장 마음에 들었습니다.
생각 정리하기
위와 같은 이유로 블로그를 시작했지만, 지금까지 여러 번 블로그를 중단했습니다.
같은 과정을 반복하지 않기 위해 이전 시행착오를 돌아보고 생각을 갈무리해 보았습니다.
고려하지 않았던 것
- 네이버 블로그 ◦ 티스토리
- 블로그에 진심은 아니지만, 최소한의 차별점은 두고 싶었습니다.
- SEO ◦ 광고...
- 개발 블로그로 명성을 쌓는 것은 우선순위가 낮았습니다.
도움을 주는 것도, 포트폴리오로 사용하는 것도 모두 부수적인 목적입니다. - 블로그를 상업적으로 이용할 생각도 없습니다.
- 그래서 SEO 등의 요소는 크게 고려하지 않았습니다. 기본적인 설정으로 충분 하다고 생각했습니다.
- 개발 블로그로 명성을 쌓는 것은 우선순위가 낮았습니다.
거쳐왔던 수단들
-
GitHub Pages (Jekyll)
남들 따라 블로그를 만들었던 시기라 동기부여가 떨어졌습니다.
Ruby 기반이라 거리감이 있었고, 그래서 이번에도 선택지에 없었습니다. -
GitHub Pages (Gatsby ◦ Next.js)
플러그인이나 폴더 구조 등에서 자유도가 제한되는 느낌이었습니다.
공수도 생각보다 적지 않았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다만, Next.js 자체는 개인적으로 주목하고 있습니다.
-
직접 구현 (React 등)
중간에 2번 정도 시도했습니다. 이론상 자유도는 무한이지만... 그만큼 공수가 무지막지하게 들어갔습니다. -
velog ◦ Medium 등의 플랫폼
정해진 틀 안에서 블로그를 구성해야 하기 때문에 특별한 장점이 없거나 불편한 점이 보이기 시작하면 정착이 힘들었습니다. 장점으로 언급되는 넓은 커뮤니티도 저에게는 매력적이지 않았습니다.